삼성 840 SDD 수명은?
한번씩 오래된 유지관리를 위해 컴퓨터에 전원을 넣어봅니다.
2012년에 제법 많은 돈을 써서 데스크탑과 노트북을 구입을 하였는데 아직도 잘 보유하고 있고 일반적인 용도로는 충분히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윈도우10 업데이트 지원이 끝났기에 한번 켜서 마지막 업데이트 적용을 하고 나서 이것저것 보고 있었는데..
문뜩 이 때 구입해서 설치해 놓은 삼성 840 SSD에 대한 생각이 났습니다.
삼성 840 SSD
2012년 이 당시 상당히 고가였던 SSD.
삼성이 대중화를 위해 가격도 낮추었으나 스펙도 낮춘 840 SSD를 출시하였습니다.
그래도 물론 낮은 가격은 아니었습니다.
소니 바이오 노트북 VPCSB16에 512GB 840 SSD를 설치하고 나서 신세계를 맛본 이후 데스크탑에도 840 SSD를 구입해서 설치하게 됩니다.
다만 데스크탑에는 비용 때문에 256GB 용량으로 구입을 했습니다.
이 당시만 해도 SSD + HDD 조합이 기본이었으니 용량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았습니다.
SSD 수명 관련 이슈
이 당시 SSD에 대한 이슈는 수명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만 5년에서 7년 정도 사용을 하면 SSD는 수명이 다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에 삼성이 보증을 사용량이 아닌 기한으로 변경을 하면서 더욱 이야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HDD도 5년 넘게 사용이 쉽지 않았기에 SSD도 문제 없겠다 라는 생각에 구입을 했습니다.
참고로 몇 개월 후에 출시된 840 EVO를 구입한 것은 아니어서 이후 크게 문제가 된 성능저하 부분은 크게 와닿지 않았네요.
삼성 840 SSD 13년이 되어가는데
구입한지 13년이 되어가는 삼성 840 SSD.
갑자기 죽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에 얼마나 사용을 했는지 한번 체크를 해보았습니다.

우선 가장 유명한 프로그램인 크리스탈디스크인포를 설치해 보았습니다.
건강상태 65%로 좋음, 총 TBW는 43TB로 표기가 됩니다.
TBW는 지금까지 총 쓰기 용량으로 보통 수명을 체크하는데 사용을 합니다.

혹시 해서 삼성 매지션 프로그램도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여기서도 43TB라고 보여주네요.
생각외로 TBW가 높지가 않습니다.
10년이 훌쩍 지났으니 100 TBW는 넘어갔을 거라 생각을 했는데.. 왜 그런가 생각을 해보니 256GB라는 용량 때문이네요.
2012년 당시에 256GB가 작은 용량은 아니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256GB는 사용하기에 부족한 용량이였습니다.
이에 별도로 SSD를 구입해서 이 SSD로 게임도 설치를 하고 업무용 파일들도 다 넣고 영상 편집을 비롯한 다운로드도 별도 구입한 SSD로 활용을 한 것 같습니다.
삼성 840 SSD의 수명은?
정확히 삼성이 공식 발표는 하지 않았습니다만 256GB 의 경우 100에서 150 TBW 라고 합니다.
크리스탈디스크인포에서 43TBW를 65% 라고 표기한 것을 보면 얼추 100 TBW 정도라고 생각하면 맞을 것 같습니다.
이제는 메인 컴퓨터도 아니니 컨트롤러가 죽지 않는 이상 급사하는 경우는 없을 것 같습니다.
100 TBW를 다 사용하지는 못할 것 같네요.
참고로 노트북에 설치되어 있는 512GB 840 SSD는 용량이 더 많으니 수명이 더 길 듯 한데 체크해보니 아직도 30 TBW가 안되는 것으로 나옵니다.
요즘 출시하는 NVME SSD의 수명은?
삼성 840 SSD와 같은 구형 SATA SSD가 아닌 요즘 출시되는 NVME SSE들의 수명은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500 ~ 700 TBW 정도라고 합니다.
개인 유저가 일반적으로 사용을 해서는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하기는 정말 힘들 듯 합니다.
이래서 어느 순간부터 SSD 수명 이야기가 사라진 게 아닌가 싶네요.
SSD 중고거래도 한번 생각을 해봐야 겠습니다. ^^
